등장인물
『원스』는 아일랜드 더블린의 거리에서 만난 두 뮤지션의 짧고도 깊은 음악적 동행과 감정의 교류를 담은 독립 음악 영화다. 거창한 장치 없이도, 음악과 눈빛만으로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작품이다.
**그(글렌 한사드)**는 더블린 거리에서 고장 난 진공청소기를 고치며 생계를 이어가고, 밤이면 거리에서 노래를 부르는 무명의 싱어송라이터다. 지난 사랑에 대한 아픔을 간직하고 있으며, 음악을 통해 감정을 쏟아낸다.
**그녀(마르게타 이글로바)**는 체코 출신의 이민자로, 꽃을 팔며 어머니와 딸을 부양하고 있는 현실적인 여성이다. 피아노 연주에 능하며, 우연히 ‘그’의 음악을 듣고 다가선다. 감정을 함부로 드러내지 않지만, 누구보다 섬세한 감성을 지녔다.
줄거리
더블린의 거리. 이름조차 나오지 않는 ‘그’는 고장 난 진공청소기를 고치며 아버지를 돕고, 밤에는 거리에서 자작곡을 부르며 지나가는 사람들 앞에서 연주한다. 음악은 그에게 삶의 유일한 탈출구다. 어느 날, 우연히 그의 노래를 들은 ‘그녀’가 다가온다.
그녀는 그가 만든 음악에 진심으로 감동하고, 자연스럽게 음악적 파트너가 된다. 두 사람은 낮에는 피아노가 있는 악기점에서 함께 연주하고, 밤에는 거리와 녹음실을 전전하며 데모 음반을 만들기 위한 여정을 시작한다.
함께 보내는 시간 속에서 그와 그녀는 서로의 삶에 깊이 스며든다. 과거의 상처, 현재의 책임, 음악에 대한 열정—모든 것이 진심으로 이어지며 그들은 짧은 시간이지만 진한 정을 나눈다.
하지만 현실은 그들을 오래 붙잡지 않는다. 그는 런던으로 떠나 음악 커리어를 쌓기로 하고, 그녀는 남편과 아이가 있는 삶으로 돌아간다. 그들이 함께한 순간은 끝이 났지만, 음악으로 남은 감정은 앞으로도 계속된다.
감상평
『원스』는 아주 조용하게, 그러나 깊게 마음을 건드리는 영화다. 사랑과 우정, 음악과 현실 사이의 감정을 날것 그대로 보여주며,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자연스럽다.
이 영화가 특별한 이유는, 극적인 플롯이 거의 없음에도 관객을 완전히 몰입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이것은 대부분 ‘음악’ 덕분이다. 글렌 한사드와 마르게타 이글로바가 직접 연주하고 노래한 사운드트랙은 감정을 대신 말해주는 언어가 된다. 대표곡 「Falling Slowly」는 그들의 감정선과 이별의 여운을 고스란히 전해준다.
두 사람의 관계는 낭만적인 연애라기보다는 삶의 한 지점에서 잠시 교차한 인연에 가깝다. 그렇기에 오히려 더 순수하고 아프다. 말로 하지 못한 감정, 완전히 닿지 못한 손끝 같은 순간들이 관객의 마음을 오래 붙잡는다.
“우리는 단지 음악을 함께했을 뿐이지만, 그 안에 모든 감정이 있었다.”
영화는 화려한 카메라도, 유명 배우도 없다. 그 대신 소리와 공기, 침묵과 눈빛이 이야기의 중심을 이룬다. 그리고 그것이 진짜 사람의 이야기처럼 느껴진다.
『원스』는 사랑이 어떤 형태로든 우리를 바꾸고 성장시킨다는 걸 보여준다. 그리고 그 기억은 음악처럼, 영원히 반복되고 울려 퍼진다.